모바일 SDK가 앱 보안의 구멍이 되는 이유와 대응법

Written by

Published on

모바일 SDK가 앱 보안의 구멍이 되는 이유와 대응법

모바일 앱 개발은 점점 더 빠르고 복잡해지고 있습니다. 광고, 분석, 로그인, 푸시 알림, 결제 등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개발자들은 수많은 서드파티 SDK(Software Development Kit)를 사용합니다. 문제는 이 편리함 뒤에 숨어 있는 보안 리스크가 점점 커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SDK는 앱 내부 코드에 직접 포함되기 때문에 한 번 삽입된 SDK가 어떤 데이터를 수집하고 어떻게 외부로 전송하는지 완전히 통제하기 어렵습니다. 특히 SDK 자체의 보안이 취약하거나 악성 버전으로 변조될 경우 앱 전체의 무결성이 손상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모바일 SDK가 앱 보안의 큰 위협이 되는 이유실무에서 취할 수 있는 대응 전략 그리고 도브러너(구. 앱실링)를 통한 런타임 보호 방법을 함께 살펴봅니다.

SDK는 왜 ‘보안의 사각지대’가 되는가?

SDK, softeware development kit

모바일 앱은 수십 개의 SDK를 포함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각 SDK는 별도의 네트워크 통신, 로깅, 권한 요청을 수행하며 앱과 같은 권한 수준에서 실행됩니다. 이 구조 때문에 SDK 하나가 악용되면 앱 전체의 보안 체계가 무력화될 수 있습니다. 다음은 실제로 자주 발생하는 SDK 관련 보안 이슈들입니다.

데이터 수집 경로 불명확

일부 SDK는 사용자 정보(위치, 광고 ID, 계정 식별자 등)를 암호화 없이 외부 서버로 전송합니다. GDPR이나 국내 개인정보보호법을 위반할 소지가 있으며, 앱 개발자가 이를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무결성 검증 부재

SDK 업데이트가 자동화되어 있다면, 악성 버전으로 교체되어도 앱은 그대로 실행됩니다. 해커는 이 구조를 이용해 광고 SDK에 악성 코드를 삽입하고 앱을 배포하는 사례도 있습니다.

권한 오남용

SDK가 카메라, 마이크, 저장소 권한을 요청하는 경우, 앱이 실제로 사용하지 않더라도 권한이 활성화됩니다. 이로 인해 사용자의 신뢰를 잃거나, 정책 위반으로 앱스토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결국 SDK는 앱 코드와 함께 배포되지만, 관리 책임은 외부에 있는 구조적 리스크를 내포합니다. 즉, 내가 작성하지 않은 코드가 내 앱에서 실행되고 있는 상황이 바로 SDK 보안의 핵심 위험입니다.

SDK 취약점이 가져올 수 있는 실제 피해

SDK 보안 리스크는 단순한 기술적 문제가 아닙니다. 사업적인 피해, 브랜드 신뢰도 하락, 법적 제재로 직결될 수 있습니다.

  • 데이터 유출: 외부 SDK 서버로 개인정보나 세션 토큰이 전송되면, 해킹이 발생하지 않아도 데이터가 외부로 빠져나갑니다.
  • 앱 무결성 손상: SDK 코드가 변조되면 앱 서명이 정상이어도 악성 행위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 정책 위반: Google Play 정책에서는 사용자 데이터 접근에 대해 명확한 고지와 사전 동의 절차를 요구합니다. 이를 어기면 앱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브랜드 신뢰도 하락: 사용자는 SDK의 존재를 모르지만, 보안 사고가 발생하면 브랜드가 책임을 지게 됩니다.

SDK 리스크를 줄이기 위한 실무 전략

1. SDK 인벤토리 관리

사용 중인 모든 SDK 목록을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고 각 SDK의 버전·공급사·기능·데이터 수집 범위를 명확히 문서화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취약 버전이나 불필요한 SDK를 빠르게 식별할 수 있습니다.

2. 무결성 검증 체계 구축

빌드 시점에 각 SDK의 해시값을 기록해두고, 앱 실행 시 무결성 검증을 수행하여 변조 여부를 확인합니다. Android의 Play Integrity API나 iOS의 App Attest를 활용하면, 서버에서 앱과 SDK 서명을 동시에 검증할 수 있습니다.

3. SDK별 권한 최소화

모든 SDK가 요청하는 권한을 명시적으로 검토하고 앱의 실제 기능과 관계없는 권한은 비활성화하거나 사용자 동의 과정을 추가해야 합니다. 특히 카메라·마이크·저장소 권한은 ‘앱 사용 중에만 허용’ 옵션을 적용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4. SDK 모니터링 자동화

런타임 시점에 SDK의 네트워크 트래픽, 메모리 접근, 프로세스 로딩 정보를 감시하는 런타임 보호(RASP) 기술을 병행하면 위험 탐지가 실시간으로 가능해집니다. 이 단계에서 도브러너(DoveRunner)의 클라이언트 보호 기능이 가장 강력하게 작동합니다.

도브러너(DoveRunner)를 통한 SDK 보안 리스크 대응 및 실시간 차단

도브러너(DoveRunner)는 앱 실행 중 발생하는 SDK 관련 위협 행위를 실시간으로 탐지하고 차단할 수 있습니다. 도 코드 수정이나 SDK 교체 없이 기존 앱에 바로 적용 가능해 편리성을 더합니다. 도브러너의 RASP 기능은 다음과 같은 SDK 관련 공격을 방어합니다.

  • 외부 서버로의 비정상적인 데이터 전송 감지
  • SDK 변조 및 위조 코드 삽입 차단
  • 무결성 검증 실패 시 앱 실행 제한
  • 루팅·후킹 환경에서의 SDK 비정상 동작 차단

이렇게 런타임 보호를 적용하면 SDK 내부에서 발생하는 비인가 통신이나 무결성 훼손까지 방어할 수 있습니다. 결국 SDK 보안의 핵심은 ‘모든 코드를 신뢰하지 말 것’, ‘실행 중 행동을 감시할 것’입니다. 도브러너는 이 두 가지를 자동화합니다.

SDK 보안이 곧 브랜드 신뢰로 이어진다

보안 사고는 개발사 이름으로 기사에 남습니다. 따라서 SDK 보안은 단순한 기술 과제가 아니라 브랜드 신뢰를 지키는 필수 요소입니다. 광고 SDK, 분석 SDK, 커뮤니티 SDK 등 외부 모듈을 사용하고 있다면 그 순간부터 앱 보안의 책임은 개발사에게 있습니다.

도브러너(구. 앱실링)는 런타임 보호 체계를 제공하여 앱이 실행되는 동안 외부 라이브러리의 이상 동작을 감지하고 즉시 대응합니다. 즉, 보안이 코드가 아니라 실행 과정에 내장되는 구조를 만들어주는 겁니다. 지금 바로 도브러너로 SDK 리스크를 점검해 보세요.

Resources for Effective Security

효과적인 보안을 위한 리소스

아직 망설여지시나요?
강력한 보안 솔루션을 직접
경험해 보세요!

Still not convinced? Experience our powerful solutions for yourself.

Scroll to Top